스포츠

브라질 대 한국 축구 경기 분석

이 분석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최근 브라질에 패한 것을 논하며, 선수들의 기술 격차와 전술적 약점을 부각합니다.
또한, 더 빠른 윙어와 더 나은 역습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브라질의 우월성을 인정하는 것이 미래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임을 시사합니다.
발표자는 월드컵을 앞두고 체력 향상과 전략적 계획 수립을 촉구합니다.

 

The analysis discusses the South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s recent loss to Brazil, highlighting the skill gap and tactical shortcomings.
It emphasizes the need for faster wingers and better counterattacks, suggesting that acknowledging Brazil’s superiority is crucial for future success.
The speaker calls for improved stamina and strategic planning ahead of the World Cup.

 

 

경기 분석 및 결과:
브라질과의 친선전에서 0대 5로 졌으며, 브라질 선수들의 실력이 너무 뛰어나서 한국 선수들에게 위협감을 주었고, 경외감을 느끼게 만들었다.
황인범 선수가 평소와 다르게 패스미스를 한 것은 브라질 선수들의 압박 강도와 압박 타이밍에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하며, 조기 축구를 하는 사람들도 그 느낌을 알 것이라고 한다.
오늘의 경기에서 선수들을 탓하고 싶지 않으며, 브라질 선수들이 너무 잘해서 졌다고 생각한다.
애매하게 맞불을 놓은 것이 문제였으며, 양쪽 측면 윙포드의 2강인 이재성을 놨지만 미드필더 숫자를 안 맞춘 채로 맞불을 놓았다.

 

전략 분석:
상대는 3미들, 우리는 2미드로 미드필더 숫자가 부족해서 전방 압박이 풀리고, 라인을 쭉 내렸으며, 볼을 빼앗겼고, 짧게 만들어 보려고 해도 상대의 전방 압박이 너무 강해서 자꾸 빼앗겨 수비하게 되었다.
브라질 같은 팀을 상대로 애매하게 맞불을 놓으려 하면 오늘 같은 일이 벌어지며, 애초에 수준 차이를 인정하고 깔끔하게 선수비 후 역습하는 것이 브라질을 이길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윙어의 중요성:
브라질과 같은 팀을 상대로 하기 위해서는 양쪽에 빠른 윙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상대 팀의 수비 라인을 압박하고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빠른 윙어가 없으면 손흥민 선수 혼자만 침투를 하게 되며, 이는 너무 힘들고 중앙 공간이 벌어지지 않아 짧은 패스를 할 수 없다.
우리 스쿼드에는 황희찬 선수와 정상빈 선수가 빠른 윙어로 고려될 수 있지만, 황희찬 선수는 부상으로 쉬고 있고 정상빈 선수는 왜 쓰이지 않았는지 의문이다.
젊은 선수들인 양민혁, 양현준, 박승수 등은 빠른 윙어로 월드컵에 데려가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선수들이 있어야 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전방 압박 전술:
전방 압박을 할 때는 프레스가 아니라 체이스를 해야 하며, 체이스는 상대 선수의 몸에 가까이 다가가서 볼을 빼앗는 것으로 프레스와는 차이가 있다.
상대 팀이 3미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 우리 팀의 투미들이 상대 미드필더를 따라가게 되면, 센터백인 조유민 선수와 김민재 선수가 상대 공격형 미드필더를 막으려 하지만 너무 높이 올라가게 되면 자석처럼 자기 자리로 끌려 내려가게 되어 비계돼서 볼이 오면서 압박이 풀리게 된다.
전방 압박을 할 때는 상대 미드필더와 숫자를 맞춰서 프레스를 하지 말고, 체이스를 하여 2m 정도 떨어져서 압박하지 말고 더 가까이 완전히 바짝 붙어서 막아야 한다.
그렇게 바짝 붙어 있으면 볼을 가진 상대가 옆으로 패스를 못 해서, 패스를 하더라도 바로 압박할 수 있고, 그들이 섬세하게 패스해서 풀어나갈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팀 구성 및 전술:
월드컵에서 브라질 같은 상대를 만난다면, 조현우, 이태석, 김민재, 조유민, 설영우, 황인범, 엔스, 이강인, 황희찬, 손흥민, 정상빈, 양민혁, 양현준 중 폼이 좋은 선수로 베스트 일레븐을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엔스 선수는 활동량과 기술적인 능력, 도전적인 스타일을 고려했을 때 3미들의 박스 투 박스로 가장 적합하며, 이강인 선수는 중앙 미드필더로 쓰는 것이 맞다고 생각된다.
이강인 선수가 왼쪽과 오른쪽 측면 모두 소화할 수 있지만, 그 자리들에서도 이강인 선수가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결국 중앙 미드필더로서의 역량 덕분이다.
이강인 선수가 오른쪽 메짤라 자리에서 뛰면 약간 공격적이고 오른쪽으로 치우치며, 왼쪽 뒷공간으로 좋은 패스를 할 수 있고, 최근 릴과의 경기처럼 내려와서 전방에 뒷공간 킥을 뿌려줄 수 있다.
황인범 선수의 수비력이 걱정된다면, 다른 수비형 미드필더들과 비교했을 때 나쁘지 않으며, 오히려 반응 속도도 빠르고 민첩하며 수비 커버 범위도 넓다고 생각한다.
황인범, 엔스, 이강인 세 선수가 자리를 자주 바꾸며 뛰는 것이 좋으며, 이강인은 수비적인 성향이 적고 엔스와 황인범은 더 자주 자리를 바꿔도 될 것 같다.
셋이 자리를 계속 바꾸면서 뛰면, 마치 파리 생제르맹의 비티니아, 주앙 네베스, 파비안 루이스처럼 세 선수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3미들이 계속 자리를 바꾸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미드필더들이 자리를 계속 바꾸면 수비하기가 어려워진다. 상대 공격형 미드필더가 갑자기 내려가면 수비형 미드필더는 따라가야 할지, 동료가 커버해줄지 고민하게 되어 수비 라인이 흔들리게 된다.
셋이 자리를 적절히 바꾸면 그것만큼 무서운 것이 없으며, 엔스, 이강인, 황인범 모두 볼 처리 능력이 뛰어나고 공간 이해도와 수비 책임감이 높다.

 

체력 및 신체 능력:
포백으로 브라질 같은 팀을 상대하는 것은 부담스럽지만, 첫 골 장면을 보면 라인을 확 내렸을 때 황인범과 엔스도 같이 내려서 호백 사이로 침투하는 상대 미드필더를 막고 박스 안 수비를 부지런히 해야 한다.
브라질 선수들의 빠른 속도와 강한 힘을 보면서 한국 대표팀에는 체력과 힘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브라질 선수들, 특히 호드리고와 비니시우스 등의 선수들이 매우 빠르고 강했으며, 한국 선수들이 부딪혀도 버티는 모습을 보였다.
2002년 월드컵 당시 한국 대표팀의 스피드, 힘, 체력이 매우 뛰어났으며, 상대 팀에 큰 압박을 가해 4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현재는 그때처럼 몇 개월 동안 체력 훈련을 할 수는 없지만, 뭔가 조치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전술을 조정해야 한다.

 

결론 및 월드컵 준비:
월드컵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잘 준비하여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