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일이야?

왜 중국인에게 투표권을 줄까?

이 대본은 한국 내 중국 영주권자에게 부여된 투표권을 논하며, 이들이 지방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을 둘러싼 논란을 조명합니다.
외국인 유권자, 특히 중국인이 상당수인 상황에서, 이 대본은 이러한 관행의 공정성과 다른 국가에 비해 엄격한 규제가 부족하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The script discusses the right to vote granted to Chinese permanent residents in South Korea, highlighting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ir influence in local elections.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foreign voters, particularly Chinese, the script questions the fairness of this practice and the lack of strict regulation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선거 영향 및 외국 영향력:
2022년 경기도지사 선거는 8,900표 차이로 당선되었지만, 외국인 유권자(대부분 중국인)는 51,200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중국 유권자가 한국 선거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부각시켰습니다.
한국 내 외국인 유권자의 81%는 중국인이며, 이들 유권자는 산둥성에서 잠시 입국하여 투표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의 한국 내정 간섭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역사적 맥락 및 국제 비교:
노무현 정부는 2005년 재외국민에 대한 일본 정부의 보답을 기대하며 외국인에게 투표권을 부여했지만, 일본은 이 권리를 “소중한” 사람들에게만 부여했습니다.
2022년, 뉴욕주에서 외국인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려는 민주당의 제안은 미국 ​​법원에서 위헌 판결을 받았으며, 이는 한국의 접근 방식과 대조적입니다.

 

인구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한국 지방선거에서 중국 유권자의 비중은 14년 동안 무려 19배나 증가하여 향후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21만 명이 넘는 국민이 외국인의 투표권을 제한해 달라는 국민 청원에 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정부는 2017년 해당 제안을 거부했습니다. 하지만 거주 기간에 따른 투표권 제한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국 내 외국인 투표권:
한국에 영주권을 소지한 외국인은 3년 후 지방선거에 투표할 수 있지만, 주권 문제로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서는 제외됩니다.
한국 내 외국인 유권자 12만 6천 명 중 75%(9만 9천 명)는 중국 국적자이며, 그 뒤를 이어 일본인 7천 명과 베트남 및 기타 여러 국가 출신자가 있습니다.

 

역사적 맥락 및 세계 비교:
한국은 1995년 일본 대법원 판결에 따라 2006년 외국인 투표권을 시행하여, 외국인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허용하는 전 세계 45개국에 합류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예외로는 일본의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지 않는 중국과 일본이 있습니다.

 

투표율:
한국의 외국인 투표율은 13.3%로 낮은 편입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투표 자격을 갖춘 외국인 12만 6천 명 중 1만 6천 명만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이는 1,000명 중 7명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