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정태세문단세’는 조선 왕조의 첫 일곱 왕을 기억하는 데 사용되는 기억술입니다.
태조(태조)를 시작으로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로 이어지는 왕위 계승 순서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학생들이 조선 초기 왕들의 서열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태조라는 이름은 고려 멸망 후 조선을 건국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태정태세문단세’ is a mnemonic device used to remember the first seven kings of the Joseon Dynasty.
It represents the order of succession, starting with Taejo, the first king, and continuing through Jeongjong, Taejong, Sejong, Munjong, Danjong, and Sejo. The phrase is a tool for students to easily memorize the order of the early Joseon Dynasty kings. The name Taejo is especially significant because he founded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fall of Goryeo.
(노래 가사:)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태조, 한양에 새 나라 세워 / 정종, 기틀을 다져 왕좌를 지켜
태종, 왕권 강화로 나라를 굳히고 / 세종, 훈민정음 세상에 빛났다
문종, 학문 이어 짧아도 빛나 / 단종, 비운의 소년 왕 눈물로 남아
세조, 난을 거쳐 권력 움켜쥐고 / 조선의 길은 계속 흐른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예종, 병약했어도 뜻은 깊었고 / 성종, 경국대전 나라의 법 세워
연산군, 폭정의 그림자 끝내 폐위 / 중종, 반정으로 새 시대 열었다
인종, 학문 존중했으나 짧게 끝나 / 명종, 사화 속에 나라 흔들렸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선조, 임진왜란, 백성과 의병 / 광해군, 외교의 균형, 그러나 폐위
인조, 병자호란 치욕을 겪고 / 효종, 북벌의 꿈을 품었다
현종, 예송논쟁 시대를 흔들고 / 숙종, 환국정치 속 왕권을 세웠다
경종, 짧은 생애의 안타까움 / 영조, 탕평책으로 백성 다스렸다
정조, 규장각 세워 학문을 빛내 / 개혁의 왕, 조선의 희망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순조, 세도정치 나라를 흔들고 / 헌종, 개혁의 뜻은 미완으로 끝나
철종, 다시 세도에 나라가 약해져 / 고종, 대한제국을 선포했으나 외세 흔들림
순종, 국권을 잃은 비운의 왕좌 / 조선의 길은 여기서 멈췄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에헤라디야… 조선의 길, 영원히 노래하리라…
더 자세한 공부:
| Joseon dynasty | 1392–1910 | ||||
| 번호 | 왕명 (묘호) | 휘(이름) | |||
| 1 | 태조 | 이성계 | Taejo | 1392–1398 | |
| 2 | 정종 | 이방과 | Jeongjong | 1398–1400 | |
| 3 | 태종 | 이방원 | Taejong | 1400–1418 | |
| 4 | 세종 | 이도 | Sejong | 1418–1450 | |
| 5 | 문종 | 이향 | Munjong | 1450–1452 | |
| 6 | 단종 | 이홍위 | Danjong | 1452–1455 | |
| 7 | 세조 | 이유 | Sejo | 1455–1468 | |
| 8 | 예종 | 이황 | Yejong | 1468–1469 | |
| 9 | 성종 | 이혈 | Seongjong | 1469–1494 | |
| 10 | 연산군 | 이융 | Yeonsan-gun | 1494–1506 | |
| 11 | 중종 | 이역 | Chungjong | 1506–1544 | |
| 12 | 인종 | 이호 | Injong | 1544–1545 | |
| 13 | 명종 | 이환 | Myeongjong | 1545–1567 | |
| 14 | 선조 | 이연 | Seonjo | 1567–1608 | |
| 15 | 광해군 | 이혼 | Kwanghae-gun | 1608–1623 | |
| 16 | 인조 | 이종 | Injo | 1623–1649 | |
| 17 | 효종 | 이호 | Hyojong | 1649–1659 | |
| 18 | 현종 | 이연 | Hyunjong | 1659–1674 | |
| 19 | 숙종 | 이순 | Sookjong | 1674–1720 | |
| 20 | 경종 | 이윤 | Gyeongjong | 1720–1724 | |
| 21 | 영조 | 이금 | Youngjo | 1724–1776 | |
| 22 | 정조 | 이산 | Jeongjo | 1776–1800 | |
| 23 | 순조 | 이공 | Soonjo | 1800–1834 | |
| 24 | 헌종 | 이환 | Huhnjong | 1834–1849 | |
| 25 | 철종 | 이변 | Churjong | 1849–1863 | |
| 26 | 고종 | 이형 / 이명복 → 후에 이희 | Gojong | 1863–1907 | |
| 27 | 순종 | 이척 | Soonjong | 1907–19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