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의 선구자:
1990년대 고려대학교 연구팀은 단 2년의 연구 끝에 합법적으로 운행 가능한 자율주행차인 무인 왕착하라구 이호(Wang Chak Haragu e-ho)를 개발했습니다.
이호는 장애물 감지를 위한 비디오 카메라를 활용하고 컴퓨터 판단을 통해 조향을 제어하여, 시속 100km의 속도에서도 사람의 개입 없이 편안한 주행을 구현했습니다.
첨단 안전 기능:
이호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작동하며, 강력한 경고음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습니다.
미래 예측:
판교 연구팀은 5년 이내에 자율주행차가 비포장도로를 스캔하고 신호등에 반응하는 등 인간처럼 주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Pioneering Autonomous Driving
In the 1990s, a team from Korea University developed the unmanned Wang Chak Haragu e-ho, a legally operational autonomous vehicle after just 2 years of research.
The e-ho utilized a video camera for obstacle detection and computer decision-making to control steering, achieving comfortable driving at 100km/h without human intervention.
Advanced Safety Features
Infrared sensors enabled the e-ho to detect obstacles and automatically apply brakes and clutch, accompanied by a loud warning sound for enhanced safety.
Future Predictions
The Pangyo team projected that within 5 years, self-driving cars would be capable of scanning unpaved roads and responding to traffic lights, similar to human navig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