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일이야?

세계의 혼란스러운 미국과 이란 상황

박현도 교수와 성일광 교수가 출연하는 이번 지식뉴스에서는 미국의 군사 개입 가능성에 대한 대응으로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포함한 잠재적인 행동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 논의는 전 세계적인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과 이란이 상황을 어느 정도까지 악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은 중대한 세계적 위기를 촉발할 수 있습니다.
이 논의는 미국의 군사 개입 가능성에 대한 이란의 분노에 초점을 맞춥니다.
호르무즈 해협은 중요한 수로이며, 봉쇄될 경우 막대한 혼란을 초래할 것입니다.
교수들은 이란이 긴장을 어느 정도까지 고조시킬 수 있는지 분석합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이란의 행동이 미치는 더 광범위한 지정학적 함의를 살펴봅니다.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the escalating tensions between Iran and the U.S., focusing on Iran’s nuclear ambitions and potential military responses.
Experts analyze the implications of U.S. military involvement and the possibility of conflict, emphasizing the need for diplomatic solutions to avoid regional instability and economic repercussions.

 

이번 토론은 이란과 미국 간의 고조되는 긴장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특히 이란의 핵 야망과 잠재적 군사적 대응에 초점을 맞춥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군사 개입이 가져올 함의와 갈등 가능성을 분석하며, 지역 불안정과 경제적 파장을 피하기 위한 외교적 해결책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더 자세한 요약:

미국의 이란에 대한 군사적 개입 고려:
미국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제거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협력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란의 핵 시설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도움이 필요하며, 미국은 GBU 57 벙커버스와 같은 мощ한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란의 저항 세력이 약화되었으며, 미국과 이스라엘이 공동으로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공격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해결하기 위해 군사적 개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국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의 군사적 개입의 영향:
미국의 군사적 개입은 이란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에도 방사능 누출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책임과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황이다.
현재 미군은 중동에 4만에서 5만 명의 병력을 배치하고 있으며, 미군의 움직임은 이란에 대한 군사적 압력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란의 핵 협상과 농축:
미국과 이란의 핵협상은 핵만 가지고 하는 것으로, 이란은 MPT에 들어가 있는 국가로서 주권 국가의 당연한 권리인 행축을 자기네 땅에서 하겠다라는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란의 외교 장관은 미국과 이스라엘이 반대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농축을 계속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 농축을 절대 안 된다고 주장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밖에서 사오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란은 일본 같은 나라가 되고 싶어 하며, 일본은 핵농축을 하지만 핵을 만들지는 않으며, 언제든지 핵을 만들 수 있는 나라로 보고 있습니다.
일본은 20%까지 농축할 수 있으며, 플루토늄도 제처리할 수 있고, 일본이 가지고 있는 핵물질로 6,000개의 핵폭탄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이지만, 실제로 만들지는 않습니다.

 

이란의 야심과 주변 국가들의 반응:
주변 국가들은 이란이 일본 같은 나라가 되고 싶어 하지만, 이란의 야심이 없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며, 이란의 평화를 위해서는 미국이 3.67% 정도만 허용했어도 사실상 JCPOA2 같은 합의를 충분히 해낼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보할 의사가 없기 때문에, 양측이 조금만 양보를 했어도 특히 미국이 3.67%까지 허용했어도 이란은 협상을 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3.67%의 조건을 받아들이지 못한 점은 아쉬운 상황이며, 이스라엘이 계속 설득을 했을 것이고, 강경파의 압력도 있었기 때문에 현재의 상황이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란의 가능한 대응과 미국의 고민:
이란이 쓸 수 있는 카드는 중동에 있는 미군 기지 공격, 이스라엘을 탄소 미사일로 공격,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여 세계 경제에 타격을 주는 것인데, 이란이 살아남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쓸 가능성이 있다.
이란이 호르무즈를 봉쇄하면 실제로 호르무즈 해협이 완전히 봉쇄될 수 있으며, 이란은 기뢰를 깔아보낼 수 있고, 어느 선박도 그곳에 들어가기 어려울 것이다.
미군이 이란을 공격하면 이라크에 있는 친이민병대나 미군 기지를 공격할 가능성이 높으며, 주변 아랍 국가들도 이란의 공격에 동조하지 않을 것이다.
아랍 국가들은 이란의 핵시설이 없기를 바라고, 자국의 전쟁에 번질까 봐 걱정하기 때문에 이란과 동조하지 않는다.
트럼프의 고민은 이란을 공격하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미국의 석유 소비자 휘발 가격이 갤런 7달러까지 넘을 수 있으며, 미국 경제도 무너질 수 있다.

 

미국의 전략과 이란의 압박:
미국은 이란을 공격해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생각했듯이 핵협상을 한 다음에 미국의 기업들이 이란에 들어가서 돈을 버는 것이 더 좋은 그림이다.
현재 나오는 얘기 중 하나는 하메이를 왜 제거하지 못하는지이며, 오히려 더 강경한 모지터바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스라엘 쪽에서 계속 나오는 멍청한 장군들을 죽이는 것은 멍청한 짓이다.
이란은 미국의 압박에 직면해 있으며, 미국의 전략 자산이 많이 배치되어 있어 이란이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란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며, 이란은 이스라엘의 공격에 대비해야 하지만, 미국까지 끼면 상황이 더 어려워진다.
미국은 이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란은 미국의 요구에 굴복하지 않으면 끝나버릴 수 있다는 위협을 받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
중국과 러시아는 이란을 군사적으로 지원하기 어렵고, 중국은 대놓고 이란을 지지하기도 어렵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이란을 돕기 어렵고, 푸틴 대통령은 이란과 러시아가 군사 협정이 있지만 방어에 관해서는 없다고 말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전쟁이 확전되는 것을 막는 데 모든 노력을 할 것으로 보이며, 이란은 미국의 압박에 대비해야 한다.

 

이란의 내부 상황과 변화의 가능성:
이란과 한국은 교육률이 높고, 정부에 대한 불만이 많은 점에서 유사성이 있습니다.
이란 사람들은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으며, 특히 교육률이 높고, 정부에 대한 불만이 많습니다.
이란은 개방국가로서 석유를 팔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현재 제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란 사람들은 자유스러우며, 중동에서 가장 많은 국민 투표를 실시한 나라입니다.
이란의 경제는 현재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제재 이전에 상류층 10%, 중산층 40%, 하층 50%였던 이란의 부유 정도가 제재 이후 10%와 90%로 바뀌었습니다.
중산층이 무너진 것이며, 가난한 사람들은 견딥니다.
이란 사람들은 변화를 바라고 있으며, 현재의 정치 제재나 이런 데서 변화를 바라고 있습니다.
하메이 최고 지도자도 처음부터 인기가 있었다고 생각하기 어려우며, 이란 사람들은 투자받기 원하고, 서양처럼 잘 살기 원하는 욕망이 많습니다.
이란은 북한과는 다르며, 북한은 개방을 할 수 없는 나라입니다.
이란은 가능한 나라이며, 핵 협조가 잘되면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란의 지도자와 반체제 운동:
이란의 지도자는 오랫동안 통치를 해 왔으며, 종교적인 사람들은 좋아하지만 종교적이지 않은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란의 반체제 영화 감독은 현 정권은 무너져야 하지만 외부 공격은 없어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이란에 혁명수비대가 강하기 때문에 체제 변화는 외부의 충격으로 오기보다는 안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야 합니다.
혁명수비대는 민병대와 바시즈를 포함하여 최소 200만에서 400만 명의 수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이 돌아서기 전에는 이란의 내부 체제 혁명은 쉽지 않습니다.

 

정권 교체와 외국의 개입:
정권 교체는 안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야지 밖에서 외부의 충격으로 오지 않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시리아처럼 내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외국 지상군의 개입은 엉망이 될 수 있으며, 미국도 엉망이 될 수 있고, 이스라엘과 다른 국가들은 이란의 핵 개발을 원하지 않습니다.
무력적인 해결책은 절대 좋지 않으며, 이란만 무너지는 게 아니라 주변 국가들에도 피해가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평화적으로 대화를 풀었으면 좋겠습니다.
전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에너지 위기와 경제 위기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전쟁은 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