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부모 곁에서 불행 할 수 있습니다.

오은영 박사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논하며, 부모의 행동이 사랑으로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깊은 상처를 남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녀는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인정하는 것은 괜찮으며, 이러한 감정의 근원을 이해하는 것이 치유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그녀는 지나치게 통제적인 어머니와 영조와 사도세자의 역사적 관계와 같은 사례를 통해 다양한 양육 방식이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부모가 자녀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인정하고 정서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주요 내용:
부모의 상처를 인정하는 것은 치유에 매우 중요합니다.
️ 지나치게 통제적인 양육은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해로울 수 있습니다.
부모의 영향력은 자녀의 정서적 안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 행동의 근원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부모에 대한 원망을 포함한 복잡한 감정을 갖는 것은 괜찮습니다.

 

 

Parents can unintentionally cause emotional wounds in their children, leading to feelings of anxiety and resentment.
Acknowledging these feelings, including hatred towards parents, is essential for healing.
Effective parenting involves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a child’s individuality, which can help mitigate the impact of parental control and expectations on a child’s well-being.

 

부모는 의도치 않게 자녀에게 감정적 상처를 줄 수 있으며, 이는 불안과 분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모에 대한 증오를 포함한 이러한 감정을 인정하는 것은 치유에 필수적입니다.
효과적인 양육은 자녀의 개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부모의 통제와 기대가 자녀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요약:
부모와 자녀의 관계 및 상처
  • 부모는 부모라는 이름으로 해야되는 역할과 주어야 되는 사람이 있으며, 이러한 깊고 따뜻한 사랑을 경험한 아이들은 부모가 곁에 없어도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지만, 이런 사랑을 받았다고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부모가 곁에 있어도 불안합니다.
  • 어떤 경우는 부모가 곁에 있어서 더욱 불행할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부모로부터 상처를 받았으며, 이 상처를 안고 끊임없는 의문을 가지면서 살아간다고 합니다.
  • 완벽한 부모가 과연 있을까요라는 질문이 있으며, 우리가 부모로부터 받았던 상처는 어디서 부터 시작되었으며, 왜 지금 우리는 이 상처로 인해 아파하며, 이 상처를 어떻게 다루고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 과도한 통제는 상대로 굉장히 힘들게 할 수 있으며, 적당한 통제가 필요합니다만, 과도한 통제는 않다고 보는 거죠, 이 어머니는 심숙적인 엄마입니다.

 

좋은 부모의 조건
  • 부모가 상처를 줬을 때는 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섭섭한 마음이 들고, 억울하고, 화나고, 분노하고, 때로는 굉장히 부모가 싫은 마음이 드는 그 마음도 너무 자연스러운 겁니다.
  • 좋은 부모란 학술적 용어로는 아이가 나랑 다른 독립된 개체로 라는 것을 인정하고, 이 아이의 생각과 느낌과 의견을 존중하고, 이 아이가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이 아이가 나한테 보내는 신호를 잘 알아차리고, 그 생이 성장한 화정 중에 아이의 4면이 건강해지고 내면의 힘이 생길 수 있도록 그 과정을 돕는 부모입니다.
  • 내가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와 이에 따른 마음과 이거에 대한 나의 삶에 끼친 영향 이것을 알아차리고 받아들인 데서부터 이 극복이 시작이 됩니다, 그래서 부모한테 미움만 생기는거 그래도 괜찮습니다.

 


부모의 상처 극복
  • 내가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와 이에 따른 마음과 이거에 대한 나의 삶에 끼친 영향 이것을 알아차리고 받아들인 데서부터 이 극복이 시작이 됩니다, 그래서 부모한테 미움만 생기는거 그래도 괜찮습니다.
  • 부모는 아이에게 매우 중요한 사람이며, 아이가 어려움이 있을 때는 부모가 영향을 준 부분을 알아가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사례
  • 영조는 아들을 사랑했지만, 아들이 원하는 삶이 아니라 왕권을 단단히 하고 유능한 아들을 원했으며, 이를 위해 끊임없이 채찍질을 합니다.
  • 이사도 영화는 부모 자녀 관계를 다룬 영화로, 영조와 사도 사이의 관계가 그려지며, 사도는 영조의 채찍질로 인해 불안이 심해져서 공포스럽게 됩니다.
  • 사도는 극도로 예민해져서 의외의 격증이 나타나며, 영조는 사도가 뒤주에서 돌아가신 다음에 통곡을 합니다.

 

부모 자녀 관계의 중요성
  • 부모 자녀 관계에서 아이가 울면 바보처럼 왜 먹어 으라고 말하는 것보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영화 이사도는 부모 자녀 관계의 복잡함과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 영조의 사랑의 방식이 사도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아마 영조 대학은 돌아가실 때까지 하나를 파악하고, 그것도 느낄 수 있는 땅과 후임이 주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