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일상용품, 특히 PVC와 같은 플라스틱은 암 및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된 유해 물질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일부 물질은 처음에는 안전하다고 여겨지지만, 노출 및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독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화학 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적절한 환기와 주기적인 교체가 매우 중요합니다.

 

Everyday products, particularly plastics like PVC, can release harmful substances linked to cancer and cognitive decline.
While some materials are deemed safe initially, their toxicity can increase over time with exposure and improper use.
Proper ventilation and periodic replacement of items are crucial for minimizing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chemical exposure in daily life.

 

 

일상용품의 유해 화학 물질:
물병, 신발, 비닐 바닥재에 함유된 PVC는 연소 시 발암성 다이옥신과 퓨란을 방출하여 암과 선천적 기형을 유발합니다.
플라스틱의 프탈레이트와 통조림 식품 및 물병의 BPA는 생식 문제 및 선천적 기형과 관련된 내분비계 교란 물질입니다.
항균 비누의 트리클로산과 개인 위생용품의 파라벤은 생식 문제 및 선천적 기형을 유발하는 내분비계 교란 물질입니다.

 

특정 유해 화학 물질 및 그 영향:
접착제, 페인트, 개인 위생용품에 함유된 포름알데히드는 암, 유전자 돌연변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발암성 돌연변이원입니다.
휘발유, 경유, 담배 연기에 함유된 벤젠은 백혈병과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발암 물질이자 돌연변이원입니다.
페인트, 바니시, 세척제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발암 물질이자 돌연변이 유발 물질로, 암과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합니다.

 

더 안전한 대안: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BPA 무함유 플라스틱은 BPA와 스티렌을 용출시키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스티렌과 같은 고위험 플라스틱보다 더 안전한 대안입니다.
주철 조리기구, 유리 식품 용기, PFC 무함유 개인 위생용품은 과불화화합물(PFC)이 함유된 제품보다 더 안전한 대안입니다.

 

 

 

더 자세한 요약:

하이라이트

만약 마트에서 반찬동을 사게 되면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환경으로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배달 용기 자체에서 유해 환경 물질이 나온다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 있습니다.
소주잔에 1/4 정도의 양을 따라 마시면 5분에서 10분 사이에 실명할 정도로 독성이 강한 물질이 있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상명대학교 화학 에너지 공학과의 강사 교수인 강상욱 교수가 건강구조대 구독자들과 만나서 인사를 합니다.

 

1. PVC 매트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PVC 매트는 다양하게 많이 쓰이고 있으며, PVC 자체는 범용 플라스틱이지만 경고한 소재로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서는 청가제를 넣어야 되는데, 대표적인 청가제가 프탈레이트 가소재이며, 프탈레이트 가소재는 환경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프탈레이트 가소재는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호르몬처럼 작동하면서 오랜 시간 머물면서 독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참가제다라고 보시면 되며, 국내 업체에서 요새 스탈레이트 가소자가 안 쓴 추세긴 하지만, 해외에서 생산된 제품을 사용할 경우 여전히 프탈레이트 가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친환경 가수제로 불리는 것들이 있지만, 최근에는 독성 결과도 나온 바가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조심할 필요가 있는게 PVC 소재이며, PVC 매트를 사용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분해가 되며, 분해된 것들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거나 마찰에 의해서 아이들의 손에 묻어 나올 수 있다.
PVC 매트를 1년 이상 사용할 경우, 등급이 올라가게 되며, 거의 A 등급까지도 올라갈 수 있으며, 바람이나 마찰에 의해서도 미세한 입자들이 우리 아이들이나 여러분들의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다.
PVC 매트를 구매한 경우, 버려야 하는 것은 아니며, 주기적으로 교체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환경을 생각한다고 해서 남이 쓰던 것을 받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2. 애프킬러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어 애프킬러와 같은 살충제의 경우, 사용 방법을 잘 지키지 않으면 독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살충제 성분에 많이 노출된 사람일수록 신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살충제 성분은 기본적으로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해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이 노출되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국내와 영국에서도 관련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어 애프킬러와 같은 제품은 유용하지만, 직접 호흡기로 많이 들이마시게 되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최대한 환기를 시켜서 냄새를 빼고 취침하기 전에는 들이마실 확률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한 사용 방법으로는 문을 살짝 열고 칙칙 뿌리는 것이며, 자기 전에는 창문을 열고 살짝 문을 열어서 환기를 시킨 다음에 들어가서 취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살충제 성분은 알레트린이라는 성분이며, 트레스로이드라고도 불리우며, 효과는 좋지만, 일부러 많이 노출될 필요는 없으며, 취침 전에 미리 환기를 시켜서 냄새를 빼고 들이마실 확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방향제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방향제 관련 연구에서 최근에 연구 결과가 나와서 전 세계적으로 충격을 주었으며, 어떤 연구진이 생활 속 화학 제품들과 인지 기능 저하 간의 연관성을 살펴본 적이 있었는데, 특정 세 개 제품이 연관성 있다고 발표한 적이 있었습니다.
제품의 보전을 늘리기 위한 살색 무제 성분들이 들어가 있지만, 특히 세 가지는 노출이 많기 때문에 거꾸로 살색 무제 성분에 더 많이 노출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제품을 밀폐된 공간에서 오랫동안 사용하면 안 되며, 주기적으로 환기하면서 사용하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4. 새 가구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새 제품이나 새 가구, 페인트 등에 들어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 예를 들어 포르말데히드, 벤젠, 톨루엔 등은 초기에는 많이 방출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양이 줄어듭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매우 독성이 강하여, 새 제품이나 새 가구를 사용할 때 호흡기를 통해 마시게 되며, 건강에 매우 해롭습니다.
포르말데히드는 1군 발암 물질로, 초기에는 강한 냄새가 나며, ‘베이크 아웃’이라는 방법을 통해 새 집이나 새 가구에 있는 이러한 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베이크 아웃은 집을 비운 상태에서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방식입니다.
새 신발이나 새 가구에도 이러한 물질들이 들어있을 수 있으며, 특히 신발 향이 강한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포르말데히드는 오래된 집에서도 완전히 제거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실내 공기질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 여러 번 환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가습기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얼굴 가까이 두고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정수기물이나 수돗물을 넣을 경우 미생물 번식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수돗물의 미세 입자를 들이마시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가습기 내부의 저장통은 청소를 자주 해주는 것이 좋으며, 하루에 한 번은 기본이고 자주 사용한다면 아침, 저녁으로 두 번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코에서 멀리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습도를 높이기 위해 빨래를 가볍게 걸어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가습기를 사용하는 나라는 많지 않으며, 사용 시에는 호흡기에 가깝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염소 처리를 한 수돗물에서는 부산물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부산물이 증기 형태로 들이마셔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6. 에어컨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에어컨은 기본적으로 디등급으로 볼 수 있지만,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등급이 올라갈 수 있으며, 가장 큰 이유는 필터입니다.
요즘 에어컨에는 공기청정 기능까지 포함된 필터가 많으며, 오래 사용하면 분해되어 미세한 가루가 날릴 수 있습니다.
일반 필터라고 해도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으며, 2년마다 교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 에어컨이라면 별도의 필터를 구입해서 교체하는 것이 미세입자 방지에 도움이 되며, 필터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줘야 합니다.
필터 청소를 하지 않으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7. 드라이클리닝 용매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드라이클리닝한 옷을 비닐에 싸서 옷장에 보관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아이들이 있는 집에서는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드라이클리닝 용매 성분 때문입니다.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는 용매에는 벤젠, 클로로포름, 톨루엔 등이 있으며, 옷에서 계속 방출되어 흡입 시 건강에 해를 줄 수 있습니다.
드라이클리닝한 옷은 비닐에서 꺼내 햇빛에 말려야 하며, 용매가 날아간 뒤에 사용하면 안전합니다.
옷 자체는 문제가 없으나, 클리닝 과정에서 남는 용매가 문제이므로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미세플라스틱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대표적인 플라스틱으로, 국내 제품의 경우 환경 유해 물질이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사용하면 표면 조직이 약해지면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음식물에 섞여 섭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표면에 흠집이 많아지고, 세제가 잔류할 가능성이 커져 불필요한 세제를 섭취하게 됩니다.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도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엔 문제가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과량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계열의 제품은 6개월~1년 이상 사용하지 말고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며, 미세플라스틱과 세제 잔류를 경계해야 합니다.

 

9. 스테인리스 제품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스테인리스 제품은 기본적으로 안전하지만, 두 가지 요인을 무시할 경우 등급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첫째는 연마제 문제로, 스테인리스 표면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탄화알루미늄 연마제가 일부 국제 기준에 따르면 유해 등급에 속할 수 있습니다.
이 연마제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식용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기름으로 닦아내는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둘째는 스테인리스의 부식 문제입니다. 산도가 높은 음식물이 오래 담겨 있으면 니켈이나 크롬이 용출될 수 있습니다.
1년 이상 사용한 스테인리스 제품은 표면에 붉은 기운이 생겼는지 확인하고, 부식이 의심되면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1년 이상 썼다면 한 번 유심히 살펴보세요.

 

10. 배달 용기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배달 용기에서 유해 환경 물질이 나온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부분 PP 소재로 되어 있어 그 자체로 유해하진 않습니다.
문제는 1회용 용기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며, 아크릴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전자제품에 포함된 난연제가 재활용 과정에서 1회용 용기로 넘어간 사례가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뜨거운 음식이 담길 경우, 난연제가 용출될 수 있기 때문에 1회용 용기는 반복 사용하지 말고 1회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 재활용 시스템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이런 위험은 더욱 커질 수 있으며, 뜨거운 음식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11. 알루미늄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과거에는 알루미늄 기반 제품을 많이 썼지만, 최근에는 스테인리스 기반으로 많이 바뀌고 있는 추세입니다.
알루미늄 제품의 경우 코팅이 벗겨지면 산성 음식과 열에 의해 알루미늄 성분이 용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테인리스 제품도 코팅이 벗겨지면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위부식으로 등급이 올라가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팅이 벗겨진 조리기구는 즉시 버리거나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비닐랩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비닐랩은 가정용과 업소용으로 나뉘며, 가정용은 보통 LDPE로 만들어지고, 업소용은 PVC로 만들어져 가소제를 포함합니다.
가정용 랩도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경우 분해되어 미세플라스틱이 음식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업소용 랩은 습기가 차지 않아 신선해 보이기 때문에 고기 포장에 주로 사용되며, 정부에서도 허용하고 있지만, 사용 방법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집니다.
특히 뜨거운 음식과 직접 닿을 경우 가소제가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고기를 사 왔다면 비닐을 벗기고 가정용 랩에 다시 싸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자레인지 사용 시 비닐랩을 그대로 돌리지 말고, 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3. 메탄올 (methanol)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메탄올은 과거 워셔액에 사용되던 성분으로, 7ml만 섭취해도 실명할 수 있을 정도로 독성이 강합니다.
자동차 워셔액은 외부에 뿌리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실내 공기로 유입되어 증기 형태로 들이마셔질 수 있습니다.
2018년 이후 국내에서는 메탄올 사용이 금지되어 에탄올 워셔액으로 바뀌었지만, 고체 연료 등에서는 여전히 메탄올이 사용됩니다.
고체 연료는 식당이나 술집 등에서 자주 쓰이며, 이로 인해 메탄올 증기가 공기 중에 퍼질 수 있습니다.
실제 실험에서는 실내 공기에서 메탄올이 검출되었으며, 근무자들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건강 이상을 피곤함 정도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재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는 않지만, 건강을 위해 사용을 자제하고 식당 선택 시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14. 에에프라이어  –  “방금도 썼을 겁니다” 화학자가 뽑은 최악의 생활 속 유해물질
에어프라이어는 자체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고온에서 아스파라긴과 같은 아미노산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국제암연구소 기준으로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며, 감자칩 논란의 중심이 된 성분입니다.
감자처럼 탄수화물이 많은 식품은 고온에서 오래 요리하지 않고, 짧게 요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물질은 장시간 고온 노출 시 생성량이 증가하므로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부에서도 관리하는 물질이며, 에어프라이어 사용 시 조리 시간과 온도를 잘 지켜야 합니다.

 

“그럼 뭘 쓰라는 거냐…” 생활 속 화학물질, 다만 이렇게 사용하세요
일상에서 사용하는 화학 제품들은 모두 일정 수준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노출량과 노출 빈도에 따라 그 위험성이 달라집니다.
정확한 사용법과 적절한 사용 환경을 지키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잘못된 소문이나 과장된 공포심은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산업을 발전시켜야 하는 입장에서, 잘못된 정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합니다.
결론은 “정확한 사용법이 제일 중요하다” 는 것입니다.
이를 기억하면 화학 제품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