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역사 미안해야한다
광복 80주년은 평범한 사람들의 희생을 강조합니다. 또한, 후회와 연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사회가 자유를 위해 싸운 이들을 기억할 것을 촉구합니다.
연사는 감사와 책임감으로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 기념일을 성찰과 성장의 중요한 순간으로 삼습니다.
The 8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emphasizes the sacrifices made by ordinary people.
It highlights the need for education on regret and solidarity, urging society to remember those who fought for freedom.
The speaker advocates for a shift in values towards gratitude and responsibility, marking this anniversary as a pivotal moment for reflection and growth.
이 글은 최태성 기자가 출연한 JTBC ‘아는 형님’의 광복 80주년 기념 특집 방송의 녹취록입니다.
그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조명하며, 특히 1902년 하와이로 이주한 최초의 한인 이민자들과 그 뒤를 이은 ‘사진 신부’들을 집중 조명합니다.
이들은 고난을 겪었지만, 후대들이 미국에서 눈부신 성공을 거둘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주요 내용:
최태성 기자는 앞서 세상을 떠난 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책임과 책임감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1902년 하와이로 이주한 초기 한인 이민자들은 ‘게일릭’호를 타고 사탕수수 농장에서 경제적 기회를 모색했지만, 일본의 한일 병합과 같은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하와이에서 가정을 꾸리기 위해 사진을 통해 “사진 신부”를 소개받았는데, 사진 속보다 훨씬 나이 들어 보이는 남편을 만나 도착했을 때 때로는 유머러스하면서도 가슴 아픈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습니다.
초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 이민자들의 후손들은 대법관, 올림픽 메달리스트, 시장 등 눈부신 성공을 거두며 자녀들의 미래에 대한 그들의 회복력과 헌신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역경을 극복하고 미래 세대가 새로운 땅에서 번영할 수 있는 길을 닦은 하와이 초기 한국 이민자들의 강인함과 결단력을 보여줍니다.
This is a transcript from a JTBC show called “Knowing Bros” featuring Choi Tae-sung discussing the 8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He highlights the stories of ordinary people,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first Korean immigrants to Hawaii in 1902 and the “picture brides” who followed.
These individuals faced hardship but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generations to achieve remarkable success in America.
Highlights
-
Choi Tae-su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membering and feeling grateful for the sacrifices made by those who came before, stressing the need for educa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
The initial Korean immigrants to Hawaii in 1902, traveling on the ship “Gaelic,” sought economic opportunity in sugar plantations but faced unexpected challenges like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
To build families in Hawaii, “picture brides” were arranged through photographs, sometimes leading to humorous and poignant situations upon arrival when women met their husbands, who looked much older than in the pictures.
-
Despite initial hardships, the descendants of these immigrants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cluding becoming a Supreme Court Justice, an Olympic medalist, and a mayor, showcasing their resilience and dedication to their children’s futures.
-
The story underscores the strength and determination of early Korean immigrants in Hawaii, who overcame adversity and paved the way for future generations to thrive in a new land.
더 자세한 요약:
서론:
현재의 시간과 공간을 만들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애를 썼고, 그 결과가 지금의 우리들이라고 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그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안한 마음을 느끼지 않으며,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연대해야 하는지, 미안해야 하는지, 책임져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광복절은 1945년 8월 15일을 말하며, 그날의 모습이 아닌 그 다음날 8월 16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 있다고 하며, 그 시대를 살고 있던 사람들은 1945년 8월 15일이 광복된 줄 몰랐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뉴스가 없거나 라디오 음질이 좋지 않아 천황의 항복 선언을 알지 못했으며, 그날은 넘어가 버린 채로 다음날 서대문 형무소에서 독립운동가들이 문을 열고 나오는 장면을 맞이했다고 한다.
하와이로의 초기 한국인 이민 이야기:
현재는 그 이야기를 하기 전에 먼저 휘지를 내보이고, 하와이로 간 우리나라 첫 공식 이민자의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한다.
우리나라 첫 공식 이민지는 하와이이며, 1902년 12월에 출발하여 1월 1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했다고 하며, 그 당시에는 비행기가 없어 배를 타고 가야 했으며, 그 배는 갤리코라는 배에 100여명이 타고 들어갔다고 한다.
한반도 밖에서 살고 있는 재외동포의 수는 700만 명에 달하며, 이들 중 많은 수가 미국에 거주하고 있다.
하와이에서의 초기 한국 노동자 경험:
세기 초에 하와이의 사탕수 농장에서 노동자가 부족해 미국에서 한국에 노동자를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남성들이 하와이로 노동자로 이동하였다.
이들 노동자들은 하와이에서 사탕수 농장에서 일했으며, 그곳에서 정착할 생각은 없었고, 빠른 시간 내에 돈을 벌어 한국에 돌아가기 위해 열심히 일했다.
그러나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인해 대한제국 여권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이들 노동자들은 하와이에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이들 노동자들은 하와이에서 가족을 꾸리기 위해 한국에서 여성들을 보내줄 것을 요청했지만, 연락이 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사진 신부의 이야기:
이들 노동자들은 하와이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으며, 그 중 하나는 가족을 꾸리기 위한 것이었다.
하와이로 가는 한국인 여성들은 사진을 통해 중매를 보고 남편을 만나러 가게 되는데, 이때 여성들은 사진으로만 중매를 본 후 하와이로 가서 남편과 함께 살아야 했으며, 이 과정은 매우 어려웠고 운명을 거는 일이었다.
이 여성들은 하와이로 가는 배에 타서 남편을 만나러 가는 동안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남편의 사진을 보고 가지만 실제로 만나면 남편의 시아버지나 노인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여성들이 놀라서 기절하기도 하고 눈물 흘리기도 했으며, 이때 여성들의 나이는 16세에서 18세 사이로 중학교나 고등학교 시절이었다.
임옥순이라는 여성은 17세의 나이에 하와이로 가서 사탕수 노동자와 결혼을 하고 12명의 아이를 낳았으며, 이러한 여성들을 사진 신부라고 불렀다.
이러한 사진 신부들은 하와이에서 새로운 가정을 꾸리며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에는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었다.
재외동포의 성공 사례:
이목순은 가난한 사람들이었지만, 열심히 일해서 돈을 모으고 카네이션 사업에 투자를 했지만 결과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이목순은 하와이에서 호텔을 하나 인수했고, 그들의 자식들은 한국 사람들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이목순의 손자는 하와이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이고, 다른 사람들의 자식들은 미주 지역에서 대단한 성과를 이루었다.
갤리코에 타고 온 두 남자의 사돈을 맺어서 나온 손자는 미주 최초의 한국인 출신의 대법원장이 되었다.
사탕수 노동자의 아들은 헬싱키 올림픽에서 아시아 최초로 다이빙 금메달을 차지했고, 임야물의 아들은 미주 최초의 한인 출신의 시장이 되었다.
문대양은 미주 최초의 한국인 출신의 대법원장으로, 미국 사회에서 큰 역할을 했으며, 법원에서 자신의 언어로 입장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바꾸었다.
문대양은 영어를 하지만, 한국어를 잘하지는 못한다고 하며, 유일하게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건배사 때이다.
재외동포의 독립 운동 기여:
백범 김구 선생이 쓴 책인 『백범일지』에는 그가 죽을 때 미주 하와이 동포들을 만나고 돌아오다 그 산과 바다에서 영원히 잠드는 것이 그의 작은 소망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으며, 이는 나라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미주동포들이 보낸 돈이 임시정부 재정의 젖줄이었다는 표현을 쓸 정도로 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헌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광복 이후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미주동포들은 다시금 돈을 모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을 해 주었으며, 이는 나라의 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일이었다.
미주동포들은 광복되기 전까지 독립자금을 보냈으며, 광복 이후에는 새로운 나라에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교육자금을 보내주었으며, 이는 여러 대학의 기반이 되어서 세워지게 되었다.
백범 김구 선생이 이끌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미주동포들의 지원으로 가능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
미주동포들은 힘들게 번 돈을 쪼개 가지고 독립자금을 보냈으며, 이는 나라를 잃어버린 나라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유산과 감사:
인천의 인하대학교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몰랐었고, 1960년대에는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으며, 전쟁 이후 가난한 나라에 투자해 준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구로 공단이 우리나라 최초의 산단 산업 단지로 제임용들이 돈을 들여서 만들었다는 사실과, 88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루고 많은 돈을 모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광복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애를 썼으며, 특히 만주 지역에 살았던 동포들이 직접 학교를 만들어 총을 들고 국내 진동 작전을 하면서 항일 운동을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누군가는 자신의 청춘을 다 받쳐서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고자 뒤에 오는 사람들한테는 식민지 조국의 백성을 살지 않게 하겠노라고 모든 걸 다 내놓은 사람들이 있었으며, 그 결과가 지금 우리들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론 및 성찰: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안한 마음을 느끼지 못하고, 개인의 성공을 목표로 삼아 왔으며, 이제는 미안한 교육을 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마지막 엔딩 멘트가 우리 사회가 가져야 될 가치 방향을 제시한다는 생각이 들며, 미안함과 감사함, 그리고 깊은 존경을 담아 “폭싹 속았수다”라는 말을 하며 강의를 마친다.
주년 기념식은 소중한 기념식이며, 이 기회가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는 분기점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이 기념식은 자신의 청춘, 재산, 삶을 모두 내놓은 분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폭싹 속았수다 만세”를 부르며 기념할 수 있을 것이다.
주년 광복절을 기념하며, 모든 분들께 “폭싹 속았수다”라는 말씀을 전하고 있다.
Introduction
Many people have fought to create the present time and space, and the result is who we are today. On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I would like to tell that story.
Most people are united, and they don’t want to be taught how to be comrades, how to apologize, or how to take responsibility in our society.
Liberation Day refers to August 15, 1945. It’s not about the image that comes to mind, but rather a photograph that shows the scene on August 16th. Those who shook up that era were unaware that liberation occurred on August 15, 1945.
At the time, news was only available on the radio, so they were unaware of the Emperor’s declaration of surrender. They said they were in a situation where activists at Seodaemun Prison had to guard the gates.
Ryu’s Early Immigration Story
Before telling that story, I would like to first focus on the special story of Ryu’s arrival.
Originally, the Ryu Ryu were officially immigrants. They may have departed in December 1902 and arrived in Ryuhorululu on January 13th. However, if they had to travel by ship because there were no airplanes at the time, the ship would have been the Gallico, carrying around 100 people.
The number of Koreans living abroad is estimated at 7 million, many of whom currently reside in the United States.
The Experience of Choosing Korea from the Ryu Immigration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Ryu sugarcane farms were the only ones in the United States that were not excluded from Korea, and many men, excluding the region, moved to Ryu.
The exclusive ones worked randomly on farms in Ryasia, intending to settle there, and worked to return to Korea quickly so they could earn money.
However, with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in 1910, Korean Empire passports were no longer valid,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only exceptions to return from Ryu.
The landlord requests that a buyer be sent from Korea to start a family in Raid, but the situation is so difficult that there is no contact.
The Story of the Photo Bride
They exceptionally allowed various methods, one of which seemed to be a reprimand to the family.
Women who went to Raid were matched through photos and then went to meet their husbands. These days, women only see matchmaking through photos and then join their husbands in Raid, a process that is deeply pitiful and fateful.
These women endure many hardships while boarding the ship to Ria to meet their husbands, but sometimes, when they actually meet, they are seen looking at their husbands’ photos and talking to their fathers-in-law.
In such cases, the women were shocked, fainted, and prayed in tears. Most recently, they were between 16 and 18 years old, in middle or high school.
A woman named Im Ok-sun married Ryu Ro and Seon Taek-soo at the age of 17 and gave birth to 12 children. She wanted to take pictures of them.
The brides in this photo struggled to start new families in Ryuia, but ultimately found new lives.
A representative of success among overseas Koreans
Lee Mok-soon may have benefited from investing in the carnation business, which is a gathering of people from the empty house and a source of income for those who work hard.
Lee Mok-soon acquired a hotel in Ryudai, and they are participants in the Korean success story.
Lee Mok-soon’s grandson is a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at Ryu Young University, and others have achieved success in the Americas.
After marrying the two men who had come to Galico, the first step was taken by the younger generation.
The son of So-su abandoned his independent diving career at Helsinki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on of Im-ya became the mayor of the original Korean family in the Americas.
Moon Dae-yang, the first head of a minority group in the Americ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merican society and enabled them to speak their own language and compete.
Moon Dae-yang speaks English, but since they speak Korean fluently, the only time he uses Korean is during a toast.
The Movement for the Regulation of Overseas Koreans
In Baek-Buhm Kim Gu’s book, “Baek-Buhm Ilji,” it stands out that his small wish upon his death was to return to the sea and rest eternally in the same place where he lived. This is an example of his love for his country.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is facing a serious crisis, and the fact that the money sent by Koreans in the US is being financ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s a significant help in dividing expressions into smaller units, even in conversion.
After liberation, wh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waiting, Koreans in the US again help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had already raised funds, and this was a significant step in provoking national opposition.
Koreans in the US contributed to the Three Funds program at the beginning of liberation. After liberation, believing the new nation needed new heroes, they sent educational funds, which led to the collapse of many universities.
Mr. Baekbeom Kim Gu made it possible for the British Provisional Government to support Koreans in the Americas, and he is receiving legitimacy for it.
Koreans in the Americas, using their hard-earned money to send relief funds, are an example of their love for their country and helping it.
Tragedy and Gratitude
I learned that Inha University actually exists, that in the 1960s, Korea became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at after the war, there were people who invested in Incheon.
I learned that the Guro aristocracy welcomed the James E. Lee administration with money as the first industrial complex, and that the 88th anniversary was a success, raising a significant amount of money.
I learned that many people attacked the larvae for liberation, and that they gathered in Manchuria, where they built schools and raised arms, and that they could directly engage in domestic operations.
Some people believe that those who come after them will sacrifice their lives to save the country, and that their people will not particularly care about the country’s welfare. We can see that this is the result of our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and Reflection
I believe there is a view that because most people feel sorry and aim for personal success, they do not want an education that is filled with regret.
The final line of the drama “PPok-Saahk-Soggot-Soo-Dah” suggests a direction in which our society can find special value. It includes a lecture on regret, gratitude, and the phrase “”PPok-Saahk-Soggot-Soo-Dah” (meaning “to cut off the prime”).
Anniversary Anniversary is a birthday celebration, marking the creation of a turning point where this opportunity can become a new starting point.
This anniversary ceremony allows us to commemorate our youth, our country, and our lives by singing “Long Live PPok-Saahk-Soggot-Soo-Dah”.
In commemorating Liberation Day, all power is conveying the message of “PPok-Saahk-Soggot-Soo-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