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에 대한 적극적 조치 종료한 미국 대법원
(2년전 동영상)
CNN 기자 애비 필립은 목요일 ‘더 리드(The Lead)’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대학 입학에서 소수집단 우대 조치를 폐지하기로 한 대법원의 결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녀는 목요일에 판결이 내려진 이 사건의 원고인 ‘학생들을 위한 공정한 입학(Students for Fair Admissions)’의 이사인 케니 쉬를 초대해 인터뷰를 합니다.
실력주의와 공정성:
대법원이 대학 입학에서 소수집단 우대 정책을 폐지한 결정은 인종보다 노력, SAT 점수, 성적, 그리고 학업적 우수성을 우선시하는 실력주의의 승리로 여겨집니다.
케니 쉬는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평균적인 미국인보다 두 배나 많은 시간을 공부하며 하버드와 같은 명문대에 입학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처럼, 이제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인종이 아닌 실력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문화적 요인과 성공:
강력한 가족 가치관, 좋은 문화, 그리고 교육의 가치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성공하고, 우수한 학생을 배출하며, 학업적 우수성을 갖추도록 돕는 진정한 해결책으로 여겨집니다.
교육 정책:
학교 선택권은 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이 대학 진학 전에 명문대와 관련 교육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명문대 진학에 더 잘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해결책으로 제시됩니다.
평등과 공정한 대우:
이 판결은 인종적 배경이 아닌 학업 성취도에 따라 대우받도록 보장함으로써 평등의 승리로 여겨집니다.
성적 기반 입학:
이 판결은 인종적 요인이 아닌 지원자의 학업 성취도와 노력을 고려하는 성적 기반 입학 절차를 지지합니다.
Meritocracy and Fairness: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strike down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is viewed as a victory for meritocracy, prioritizing hard work, SAT scores, grades, and academic excellence over race.
Asian Americans can now be evaluated on their merits rather than race, with Kenny Xu noting they study twice as many hours as the average American, justifying their admission to elite schools like Harvard.
Cultural Factors and Success:
Strong family values, good culture, and valuing education are considered the real solutions to helping students succeed in college, producing elite students and academic excellence.
Educational Policy:
School choice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help lower economic status students access elite schools and resources before college, better equipping them for admission to top universities.
Equality and Fair Treatment:
The decision is seen as a win for equality, ensuring individuals are treated based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rather than racial background.
Merit-Based Admissions:
The ruling supports a merit-based admissions process that considers an applicant’s academic performance and effort, rather than racial factors.
더 자세한 요약:
대학 입학의 공정성:
공정성이라는 개념은 대학 입학과 관련하여 논의되는데,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학생들에게 불공평하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차별받아 온 아시아계 학생들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흑인 미국인들이 유치원부터 자녀들에게 더 나은 교육을 요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이러한 고려 사항들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낮은 기대치에 대한 편견:
“낮은 기대치에 대한 편견”이라는 개념이 언급되는데, 이는 진보적인 도시들이 흑인들을 높이 평가하지 않고 그들에게 약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대신 공정 주택, 푸드 스탬프, 소수집단 우대 정책과 같은 다른 형태의 지원을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파우스트적 거래로 볼 수 있으며, 종식되어야 합니다.
대법원의 차별 철폐 조치(Affirmative Action) 관련 판결:
대법원이 대학 입학 과정에서 차별 철폐 조치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체계적인 인종차별을 근절하기로 한 결정은 민주당과 주류 진보 언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들은 이 조치가 흑인과 히스패닉계 학생들의 대학 진학을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대학 입시에서 백인과 아시아인에 대한 체계적인 인종차별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드러냈습니다.
케니 주 인터뷰:
CNN의 진보 성향 언론인 애비 필립스와 차별 철폐 노력에 참여했던 보수 성향 아시아인 케니 주의 인터뷰가 논의됩니다. 케니 주는 아시아인에 대한 기준이 흑인을 포함한 다른 인종에 비해 훨씬 높은 이유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이 대화에는 소수집단 우대 조치 반대 단체인 ‘컬러 어스 유나이티드(Color Us United)’의 회장인 케니 주(Kenny Zhu)와 하버드 대학교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학생들을 위한 공정한 입학(Students for Fair Admissions)’ 이사회 이사가 참여합니다. 주 이사는 소수집단 우대 조치를 지지하는 규정이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불공평하다고 주장합니다.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대법원의 판결이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에 대해 논의하며, 케니 주는 이 판결이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설명할 예정입니다.
아시아계 미국인을 명문대 입학 시 능력에 따라 대우한다는 결정은 긍정적인 발전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아시아계 미국인이 평균 미국인보다 두 배나 많은 시간을 공부한다는 사실이 그들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인종이 아닌 그들의 노력과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평가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교육에서의 문화적 가치와 가족적 가치
학업적 우수성을 달성하는 진정한 해결책은 인종에 기반한 입학 전형보다는 교육과 노력을 우선시하는 문화적 가치와 가족적 가치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버드와 같은 대학들은 지원자의 이러한 자질을 중시해야 합니다.
레거시 입학과 다양성
레거시 입학 문제 또한 제기되고 있습니다. 레거시 입학은 백인 지원자에게 불균형적으로 유리하며 아시아계 미국인이 입학 과정에서 공정한 대우를 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레거시 입학 제도를 폐지하는 것이 하버드가 아시아계 미국인을 차별하지 않고 다양성 정책을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레거시 입학 제도는 성적에 기반하기보다는 학생들이 돈을 내고 입학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폐지하거나 그 중요성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레거시 입학 제도는 아시아계 미국인을 포함한 모든 지원자에게 더 공정한 제도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입학 심사에서 사회경제적 지위 고려
인종 대신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방안이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들에게 공정한 제도가 될 수 있을지, 그리고 불평등과 사회경제적 요인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대학 입학 심사는 오로지 성적(성적)만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개인의 역경 수준을 측정하는 것은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길 수 있고 매우 어리석은 일이며, “피해자 계산기”라는 개념은 비판받고 있습니다.
입학 심사에서 인종을 고려하는 것은 인종차별주의적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는 누군가가 단지 인종이나 성별 때문에 힘든 삶을 살았다고 가정하는 것이며, 이름이나 인종을 가리지 않는 심사가 더 바람직하다는 것입니다.
대학 입학에서 성적과 SAT 점수 이외의 요소를 고려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입학 기준의 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인종과는 무관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회경제적 지위는 입학 기준의 하향 조정으로 이어져 졸업률에 악영향을 미치고 특정 집단에 대한 낙인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입학 심사에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흑인 미국인의 교육 과제:
흑인 미국인들은 종종 하위 25%의 학생들로 로스쿨을 졸업하며, 이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기준을 낮추는 것은 성공 가능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들의 성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학생들을 돕기 위한 해결책은 대학 진학 전에 명문 대학과 관련 자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학교 선택권을 통해 명문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입학 기준 차이:
특정 집단에 대한 기준이 낮아지지 않는다는 주장은 아시아계 학생들이 흑인과 동일한 입학 가능성을 갖기 위해 SAT에서 273점 더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한다는 데이터로 반박됩니다. 이는 흑인 미국인의 기준이 실제로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인터뷰 결론:
흑인 CNN 앵커와의 인터뷰는 제시된 사실에 대한 반박이 없다는 이유로 갑작스럽게 종료되었습니다. 이는 좌파의 주장에 반하는 것이었습니다.
앵커는 흑인에 대한 기준이 낮아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려 했지만, 사실은 정반대이며, 흑인들이 더 낮은 기준을 주장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기대와 기준:
모든 사람, 특히 학업에서 더 높은 기준을 스스로에게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문제는 사람들이 스스로에게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흑인에 대한 기준은 매우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흑인에 대한 낮은 기대는 심각한 편견으로 여겨지며, 이는 ‘낮은 기대치의 강경한 편견’으로 불립니다.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s
-
The concept of fairness is discussed in relation to college admissions, with the argument that it is unfair to students who work hard to achieve good grades when others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due to their background, particularly Asian students who have been dominated in this country, but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for black Americans to demand stronge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tarting from kindergarten, to make such considerations moot.
Bigotry of Low Expectations
-
The idea of the “bigotry of low expectations” is mentioned, suggesting that liberal cities do not think highly of black people and offer them a watered-down education, but provide other forms of support such as fair housing, food stamps, and affirmative action, which can be seen as a Faustian deal that needs to be ended.
Supreme Court Decision on Affirmative Action
-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strike down systemic racism by not allowing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has led to a meltdown among Democrats and the mainstream liberal media, who claim that this will prevent black and Hispanic people from getting into college, revealing their belief in systemic racism against whites and Asians in college admissions.
Interview with Kenny Zhu
-
An interview between Abby Phillips from CNN, a liberal progressive, and Kenny Zhu, a conservative-leaning Asian who was part of the effort to have affirmative action struck down, is discussed, where Kenny Zhu is expected to present facts on why the standards for Asian people are much higher than for others, including black people.
-
The conversation involves Kenny Zhu, president of Color Us United, a group that advocates against affirmative action, and a member of the board for Students for Fair Admissions, the group that brought the case against Harvard and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who argues that the rules in place to support affirmative action were unfair to Asian Americans.
Implications for Asian American Students
-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Asian American students looking to attend college are discussed, with Kenny Zhu expected to explain how the decision helps them.
-
The decision to treat Asian Americans on their merits when getting into elite colleges is seen as a positive development, as it means they will be judged based on their hard work and academic excellence, rather than their race, with the fact that Asian Americans study twice as many hours as the average American being a key factor in their success.
Cultural and Family Values in Education
-
It is argued that the real solution to achieving academic excellence is through culture and family values, which prioritize education and hard work, rather than relying on race-based admissions, and that schools like Harvard should value these qualities in applicants.
Legacy Admissions and Diversity
-
The issue of legacy admissions is also raised, with the argument that it disproportionately benefits white applicants and is an obstacle to Asian Americans being treated fairly in the admissions process, and that getting rid of legacy admissions could be a way for Harvard to implement diversity policies without discriminating against Asian Americans.
-
It is suggested that legacy admissions should be abolished or given less emphasis, as it allows people to “buy their way” into a school, rather than being based on merit, and that this would be a more fair system for all applicants, including Asian Americans.
Socioeconomic Status in Admissions
-
The idea of taking socioeconomic status into consideration instead of race is also discuss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would be a fair system for Asian American students, and whether it would address the concerns around inequality and socioeconomic factors.
-
Admissions to universities should be based solely on merit, as calculating an individual’s level of adversity can set a bad precedent and is extremely silly, with the idea of a “victimhood calculator” being criticized.
-
It is argued that considering race in admissions is racist, as it assumes that someone has had a hard life simply because of their race or gender, and that a name-blind, race-blind process is preferable.
-
The idea of considering factors other than grades and SAT scores in college admissions is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 that socioeconomic status could be a factor, but it is argued that this should be considered without respect to race.
-
The consider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is debated, with the argument that it should not be a factor in admissions because it can lead to lowering standards, which can harm the graduation rates and create a stigma against certain groups of people.
Challenges for Black Americans in Education
-
It is stated that black Americans often graduate from law school at the bottom 25 percent of their classes, and that lowering standards to admit them can harm their chances of success, and instead,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m succeed.
-
The solution to helping students from lower socioeconomic backgrounds is proposed to be providing them with access to elite schools and resources before they go to college, such as through school choice, which can help equip them to get into elite universities.
Standard Differences in Admissions
-
The argument that standards are not lowered for certain groups is countered with data showing that Asian students need to score 273 points higher on the SAT to have the same chance of admission as a black person, indicating that the standard is indeed lowered for black Americans.
Interview Conclusion
-
The interview with a black CNN anchor was ended abruptly because she had no rebuttal to the facts presented, which went against the left-wing narrative.
-
The anchor wanted to argue that standards are not being lowered for black people, but the opposite is true, and it is embarrassing for black people to advocate for lower standards.
Expectations and Standards
-
It is believed that everyone should be holding themselves to a higher standard, especially in academics, but the problem is that people do not want to hold themselves to a high standard, and the bar is set very low for black people.
-
The issue of having low expectations for black people is considered a real problem, referred to as the hard bigotry of low expectations.